반응형
배관 두께 선정
설계온도 및 압력에서 최소 배관두께는 아래 공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ASTM/ASME B31.1 PARA 104. 1.2)
여기서,
tn= 최소관의 두께(㎜)
P = 내부설계 압력(㎏/㎠. g)
D_0 = 관외경(㎜)
S = 설계온도에서 재질의 최대허용 응력(㎏/㎠) (ASME B31. 1 부록(A))
E = 접합효율 (1:seamless, 0.95:electric fusion weld, double butt, straight or spiral seam APL 5L, 0.85:ERW)
d = 허용 제작공차가 고려된 최대 내경(㎜)
A = 추가 두께(기계적 여유, 부식 여유등)
Y = 아래표에 의한 계수 (ASME B31. 1 TABLE 104.1.2(A))
주)
1. 표에 명시된 중간값에 대해서는 보간법이 사용된다.
2. 주철 및 비철금속의 Y 값은 0.4
3. D0 / tm < 6일 경우 482℃ 이하에서 Y = d / (d+D0)
관을 Bending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굽힘으로 인해 얇아지는 두께를 보상한 후 ANSI/ASME B36.10 또는 제작사 규격으로부터 최소 관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선정한다. 이때 계산된 최소 배관두께 tm은 표준화된 배관 공칭두께의 제작공차를 고려한다.
출처 : 공공누리 http://www.kogl.or.kr/
반응형
'부품 - 체결류, 유공압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어링의 개요 (0) | 2016.07.15 |
---|---|
Flange의 규격 (0) | 2016.07.14 |
배관 재료의 성질 및 해당 ASTM - 탄소강 (0) | 2016.07.14 |
배관 구성품 - 배관 SUPPORT (0) | 2016.07.14 |
배관 구성품 - Fitting 류 (0) | 2016.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