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열전달 및 열응력 해석팁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아바쿠스에서도 steady-state 및 transient 열전달 해석이 가능하며 결과물인 온도를 이용하여 열응력 계산을 할 수 있다.


사용되는 요소

continum element

point element

shell element

두께 방향으로 온도가 정의되는 여러 자유도가 존재한다 

(예로 적분점이 3개 있으면 3 점에서 온도가 정의된다.)

bottom 면에서의 자유도는 11 이며 출력 변수는 NT11 이다.

top 면에서 온도 자유도는 10 + 두께방향 자유도 수 이다.

단겹 shell은 동일 간격으로 분포하며 디폴트는 5개이다.

일반적으로는 각 레이어에 두께 방향으로 홀수 개의 자유도가 있다.

두께와 재질이 다른 복합 다층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폴트로 3 개의 자유도이며 모든 레이어의 개수가 같아야 한다)


경계조건 및 하중

응력해석에서 변위 혹은 힘이 주어져야 하듯이 마찬가지로 열전달에서도 온도 혹은 heat flux 가 주어져야 한다.


- Prescribed Temp.

- Prescribed Flux

- Film Condition

- Radiation condti

- Natural b.c. (defaul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