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용접의 장단점


장점


- 용접 이음은 사용 재료의 두께에 제한이 없고, 리벳, 볼트 등의 기계 결합 요소 가 필요 없다.

* 실질적으로 용접 방법에 따라 최대 두께에 제한이 있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작업 난이도가 증가한다.


- 용접 이음은 기밀 유지에 용이하고, 이음 효율을 100%까지 할 수 있다.


- 사용재료의 선택 폭이 넓고, 다른 이음 방법보다 제작물의 무게를 경감시킨다.


- 용접 이음은 사용기계가 간단하고, 작업 공정수가 적어 생산성이 높다.


- 용접 이음은 작업할 때 소음이 작다.


-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여 작업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단점


- 국부적으로 가열, 급랭이 되기 때문에 수축, 변형 및 잔류 응력으로 인한 변형위험이 있고, 사용 재료에 제한이 있다.

* 용접성이 좋지 않은 재료들은 용접에 의한 단점이 커서 용접보다는 기계적 체결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 용접부분의 금속조직이 취성파손 및 강도저하를 가져온다.


- 내부 결함이 생기기 쉽고, 정확한 검사가 어렵다.


- 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특별한 보호 장구 착용과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


- 수동 용접시 용접자의 기능도에 따라 용접부의 강도가 좌우된다.


- 진동을 감쇠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실무 입장에서 보면 설계를 편하게 하고 신뢰성을 높이려면 기계적 체결이 유리하나 경량화 설계를 위해서는 용접이 필요하다.




반응형
반응형



멈춤 나사 (set screw) 개요


멈춤 나사를 죄어 박음으로써 나사 끝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으로 두 물체 사이에 회전이나 미끄럼이 생기지 않도록 사용하는 나사로 키(key) 의 대용 역할을 한다. 회전체의 보스부분을 축에 고정시키는데 많이 사용한다. 


 - 머리 모양에 따른 분류 : 홈붙이, 6각 구멍붙이, 4각 머리붙이 등

* 상용품에는 렌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 나사 끝의 모양에 따른 분류 : 둥근 끝, 납작 끝, 막대끝, 뾰족 끝, 오목 끝 등

* 상용품 중에는 끝단이 우레탄이나 구리처럼 연질의 재질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여러 모양의 끝단 멈춤 나사로 고정된 포텐셔 미터 나브




반응형

'부품 - 체결류, 유공압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냅 링 (snap ring, Retaining ring)  (0) 2016.08.19
방진 마운트  (0) 2016.08.17
6각 볼트 (hexagon head bolt)의 종류  (0) 2016.08.05
관의 종류  (1) 2016.08.04
나사 길이 선정식  (0) 2016.07.19
반응형




6각 볼트 (hexagon head bolt)의 종류


6각 볼트는 나사산 부의 범위와 직경에 따른 분류


 

(a) 호칭지름 6각 볼트


(b) 유효지름 6각 볼트


(c) 온나사 6각 볼트 



반응형

'부품 - 체결류, 유공압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진 마운트  (0) 2016.08.17
멈춤 나사 (set screw)  (0) 2016.08.05
관의 종류  (1) 2016.08.04
나사 길이 선정식  (0) 2016.07.19
핀 (pin)  (0) 2016.07.15
반응형




배관의 종류 (재질에 따른 분류)


(1) 주철관 (cast iron pipe)


- 수도용, 가스수송용, 배수용, 저압 증기 배관용, 전선의 지하 케이블용 등의 매설용으로 사용

- 가격이 저렴, 내식성이 우수

- 강관에 비하여 단위 길이당의 무게가 무겁고, 파괴 강도가 약한 결점이 있음

- 호칭 치수는 관의 안지름으로 나타내며, 75~ 1500[ mm], 길이는 3~ 4[m] 

- 재질은 보통 주철과 고급 주철을 사용하여 주조

- 근래에 와서 대형관은 원심주조법에 의해 안지름 1500 [mm] , 길이 8~ 10[m] 가 생산

- 사용 압력은 0.7~ 1.0[MPa] 이하 이다.


(2) 강관 (steel pipe)


- 이음매가 없는 것과 이음매가 있는 것

- 이음매 없는 강관은 양질의 평로강 또는 전기로강을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인발에 의해 제작

- 재질에 따라 탄소강 강관, 스테인리스강 강관, 합금강 강관 등

- 대형관은 용접기술의 발달로 나선형 용접관이 많이 사용


① 배관용 탄소강 강관 

- 사용압력 0~1.5[MPa] 이고, 350。C를 초과하지 않는 증기 가스, 기름, 물 및 공기 등의 배관으로 사용. 

- 아연도금을 하지 않는 흑관과 아연 도금한 백관


②압력 배관용 탄소강 강관

- 고압용 이외의 사용압력 1.5~ 10[MPa] 으로서 350。C 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사용


③고압 배관용 탄소강 강관

- 사용압력이 10~ 20[MPa] 이고, 350。C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사용


④고온 배관용 탄소강 강관 

- 사용압력이 0~ 20[MPa] 이고 350。C를 초과하는 고온배관에 사용


⑤보일러 열교환기용 탄소강 강관

- 파이프의 내, 외부에서 열의 접촉을 행하는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 사용


⑥스테인리스강 강관 

- 사용압력 0~ 10[MPa] 이고, 내식성, 내열용, 고온용 및 저온용 배관에 사용하며, 최고 사용온도는 650~ 800。C


⑦ 합금강 강관 

- 사용압력 0~ 20[MPa] 이고, 최고 사용온도 150~ 650。C

- 주로고온용 배관에 사용하는 Ni, Cr, Mo, V 등을 함유하는 강관

- 배관용 합금강강관, 보일러 열교환기용 합금강 강관 등


(3) 동관 (copper pipe)


- 냉간 인발법으로 만들어진 이음매 없는 관

- 내식성, 굴곡성이 우수하고 전기와 열의 전도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내압성도 상당히 있음

- 열교환기용, 급수용, 압력계용 배관, 급유관 등 화학 공업용으로 널리 사용

- 보통 길이가 3~ 5[m] 정도

- 바깥 지름두께로써 호칭

- 사용압력 7[MPa] 이하, 온도 200。C이하에 사용. 

- 특히 고온에서 강도가 약하다는 결점이 있다.



(4) 황동관 (brass pipe)


- 보통 냉간 인발법으로 만든 이음매 없는 관으로 주로 지름이 작은 관이 많다. 

- 동관과 거의 같은 것이나 가격이 염가이고 강도가 크므로 

- 가열기, 냉각기, 복수기, 열교환기 등에 많이 사용한다.



(5) 납관 (lead pipe)

- 납관은 압출 제관기에 의해 제작

- 내산성이 강하며 또한 굴곡이 자유로우므로 수도, 가스, 산성 액체 또는 오수관 등으로 사용



(6) 알루미늄관 (aluminum pipe)

- 보통 냉간 인발법에 의한 이음매 없는 관

- 비중이 작고 동, 황동 다음에 열과 전기의 전도도가 높다. 

- 고 순도의 것일수록 내식성과 가공성이 좋으므로 화학 공업용, 전기 기기용, 건축용 구조재로서 널리 사용


(7) 휨관 (flexible pipe)

- 강, 구리, 황동, 알루미늄 등의 얇은 관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만든 관

- 열, 가스, 증기, 물, 기름 등의 수송용, 전선 보호관 또는 신축 이음으로 사용

- 관의 크기는 안지름으로 나타내며, 굽힘성이 커서 1.5[MPa] 정도까지 견딘다.


(8) 고무호스 (rubber hose)

- 고무, 인조고무 또는 강한 천에 고무를 결합하여 만든다. 

- 굴곡이 자유롭고 운반이나 이동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 수송 물체의 종류에 따라 공기호스, 물호스, 증기호스, 산소호스, 아세틸렌호스 등이 있으며, 

- 진공용 호스는 압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상으로 강선을 넣은 흡입호스가 있다. 

- 호스의 규격은 안지름으로 호칭한다.


(9) 염화 비닐관 (poly vinyl chloride pipe)

- 이음부분이 없는 관으로 연질과 경질의 두 종류가 있다. 

- 연질은 내약품성이고 경질은 내산, 내알칼리, 내식성 등이 좋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



반응형

'부품 - 체결류, 유공압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멈춤 나사 (set screw)  (0) 2016.08.05
6각 볼트 (hexagon head bolt)의 종류  (0) 2016.08.05
나사 길이 선정식  (0) 2016.07.19
핀 (pin)  (0) 2016.07.15
키 (key)  (0) 2016.07.15
반응형




나사 길이 선정식


나사산은 나사산보다 먼저 파손이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나사산의 전단면적이 인장면적의 최소 2배가 되어야 한다. 


이 요구조건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된다.


Le = 2 At / [ 0.5 pi ( D - 0.64952 p ) ]


Le = 최소 나사 길이 (minimum thread engagement length)


At = 인장 응력 면적


D = 주직경


p = 1 / 1인치당 나사산 수





반응형

'부품 - 체결류, 유공압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6각 볼트 (hexagon head bolt)의 종류  (0) 2016.08.05
관의 종류  (1) 2016.08.04
핀 (pin)  (0) 2016.07.15
키 (key)  (0) 2016.07.15
둥근 나사 (round thread)  (0) 2016.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