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4) Gasket 선정


Gasket 선정에 있어서 Gasket이 사용되는 기기는 배관 Flange, Valve의 Bonnet, 압력용기 Flange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그 사용조건도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Gasket의 종류도 대단히 많다. Gasket의 선정은 본래 기기 각각의 요구에 따라 많은 종류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오히려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Gasket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사용조건과 그 일반적 선정 Flow를 다음과 같이 한다.



(5) Gasket의 선정 요항





출처 : 공공누리 http://www.kogl.or.kr/

반응형
반응형







Gasket의 재질 (Seal의 재료)


Gasket에는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되고 있지만 크게 나누어서 금속비금속의 2종류로 나눈다. 


금속은 부식에 강한 Stainless 강을 중심으로 동, 알루미늄, 순철 등 여러 가지가 사용 되고 있다. 


비금속으로서는 고무,석면, Teflon, 흑연 등 한 가지 혹은 금속 등과 조합해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온도나 압력이 높은 곳, 비금속은 온도나 압력이 그다지 높지 않은 곳 또는 금속과 조합되어 고온·고압인 곳에 사용된다.





출처 : 공공누리 http://www.kogl.or.kr/

반응형

'부품 - 체결류, 유공압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관 보온재  (0) 2016.07.07
가스켓 선정 절차  (0) 2016.07.07
가스켓 재질에 의한 분류 상세  (0) 2016.07.07
Flange의 규격  (0) 2016.07.07
기어의 종류  (0) 2016.06.29
반응형






Gasket


Gasket의 정의


Gasket이란 상대 하는 2개의 물체사이에 끼워 그 장소에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Seal의 총칭으로 정지부에 사용하는 Seal과 운동면에 사용하는 Seal 이 있다.



Gasket의 재질에 의한 분류


· 금속 Gasket

· 비금속 Gasket

· 금속-비금속 Gasket


a) 금속 Gasket(Metallic Gasket)


금속만으로 만들어진 Gasket 이다. 이 Gasket는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사용되고 또한 내식성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선반 등으로 절삭하여 여러 가지 단면 형상으로 절삭할 수 있다.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서는 단면이 타원형의 Oval형, Ring Joint나 단면이 팔각형인 Octagonal 형 Ring Joint가 있다. 일반적으로 평평한 Gasket 이외의 Gasket는 초고온고압 조건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다. 금속재료로서는 내식성이 있는 Stainless강을 중심으로 Titanium이나 Monel강, Aluminum, 순철, 연강 등이 사용되고 있다.


◆ 일반적으로 Gasket와 Flange에서는 그 경도에 있어서 Flange가 손상되지 않도록 경도차에서 HB30 경도의 차를 유지한다. Stainless강을 사용할 시 Flange와 Gasket에는 통상차가 없기 때문에 Stainless강 Gasket에 저 경도 처리를 실시해서 경도차를 유지하고 있다.



b) 비금속 Gasket(Non Metallic Gasket)


금속이외의 재료만으로 만들어져 있는 Gasket이다. 비금속 Gasket 는 유연하기 때문에 조임력을 그다지 줄 수 없는 곳이나 저온·저압의 장소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이 사용되는 Gasket는 석면과 고무를 달구어 판상으로 한 Joint Sheet와 고무중 에서 그 강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 각종의 포를 끼워 넣은 포입고무 Sheet등이 있다. 최근에는 Teflon의 내약품성·전기 절연성과 또 다른 Gasket의 유연성이라는 장점을 합쳐 Teflon Gasket이 Glass Lining된 장치 또는 전기 절연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사용 되고 있다. 재료의 종류는 비교적 한정되어 있어 고무, 석면을 중심으로 Teflon, 흑연이 대부분이다.


c) 금속-비금속 Gasket(Semi Metallic Gasket)


금속, 비금속 Gasket는 금속이 갖는 장점과 비금속의 유연성을 받아들여 만들어진 Gasket으로 그 조합의 구조에 따라 금속구 Gasket와 Spiral Wound형 Gasket 2종류로 구분된다. 금속구 Gasket는 Stainless 나 연강 박판인 석면판이나 Joint Sheet를 싸넣어 내부의 비금속을 외피의 금속으로 지키면서 그 유연성을 이용한 Gasket로 치수나 형상면에서 여러 가지 것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Spiral Wound형 Gasket 는 금속과 비금속 Tape 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내륜주측과 외륜 주측에 금속Tape가 오도록 만든 Gasket로 금속의 탄력성과 비금속의 연계성 이라는 장점을 섞은 Gasket이다. 비금속에는 석면, Teflon, 흑연이 사용되고 있고 금속 Tape에는 Stainless, Aluminum 이 사용되고 있다. Gasket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나 Flange 등에 설치했을시 Gasket의 위치를 결정하기 쉽도록 Gasket 의 내측이나 외측에 금속성의 Ring을 붙일 수도 있다.




출처 : 공공누리 http://www.kogl.or.kr/









반응형
반응형






Flange 관련 규격


ANSI B16.5 Steel Pipe Flanges and Flanged Fittings


ANSI B16.47 Large-Diameter Steel Flanges(26”~60”)



API STD 605 Large-Diameter Carbon Steel Flanges(Class 150~300#)



MSS SP-44 Steel Pipe Line Flanges


MSS SP-65 High Pressure Chemical Industry and Thread Stubs For use with Lens Gaskets.



ISO 2084/2441 Pipe Line Flanges for General use


ISO 2229 Equipment for the Petroleum and Natural Gas Steel Pipe Flange Normal Sizes ½ to 24in (Base on ANSI B16.5)






플랜지의 종류


형상에 따른 플랜지의 분류




암수 플랜지 맞닿는 면에 따른 분류




이외에도 규격, 압력에 따라 세부적으로 바뀐다.





KS/JIS 플랜지 규격


KS 규격은 5K, 10K, 16K, 20K, 30K, 40K 규격이 있다.


JIS B2220 / KS B1503 5K FLANGE



JIS B2220 / KS B1503 10K FLANGE


JIS B2220 / KS B1503 16K FLANGE


JIS B2220 / KS B1503 20K FLANGE


JIS B2220 / KS B1503 30K FLANGE


JIS B2220 / KS B1503 40K FLANGE






국내업체


http://www.jaflg.co.kr/

http://xn--sm2bu73atpj.xn--3e0b707e/index.php



출처 및 참고자료


http://www.shimoda-flg.co.jp/main.php?pg=1043

http://www.wermac.org/flanges/flanges_welding-neck_socket-weld_lap-joint_screwed_blind.html










반응형
반응형






피복 아크 용접 ( SMAW : Shielded Metal Arc Welding )



원리 및 특징


피복 아크 용접은 피복 아크 용접봉과 피 용접물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그 에너지를 이용하는 용접방법이다. 홀더에 물린 피복 아크 용접봉(이하 용접봉)과 피용접물(모재) 사이에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가해서 그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키면 그 아크열에 의해서 용접봉이 용해되어 용적의 형태로 아크 기둥을 통과하여 모재의 일부가 녹인 용융지로 이행된다. 이때 피복제는 고온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방출하여 아크 기둥과 용융지를 보호해 용작금속의 산화 및 질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해 준다. 그리고 피복제의 융융은 슬래그가 형성되고 탈산작용을 하며 용착 금속의 급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용접봉이 녹아서 용접이 되므로 소모성 용접봉이고 


용접봉을 싸고 있는 피복제가 녹아 보호가스 역할을 해서 보호가스가 필요없어서 


장비가 간단하다!



피복 아크 용접방법은 용접장비가 간단하여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자세 및 좁은 장소에서 용접이 가능하며 비교적 열영향부가 적다. 보호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옥외 용접도 가능하며, 거의 모든 금속재료에 적용이 가능하다. 반면에 이 용접법은  기계화가 어렵고 숙련된 용접사가 필요하며 용접봉 교체, 슬래그제거 등 소비시간이 많아 아크율이 낮고 단위 시간당 용착량(용착속도)가 낮아 생산성이 낮다.


교류(AC) 또는 직류(DC) 전원을 사용가능하고 직류전원을 사용할 경우 용접봉에 전원의(-) 측에 연결할 경우 정극성(DCSP 이라고 하며, 역으로(+)측에 연결할 경우를 역극성(DCRP) 이라고 한다. 전원의 극성종류 대한 전자와 이온의 흐름, 열영향, 크리닝작용, 용입정도, 아크 크기 및 쏠림 형상은 아래의 표와 같다.






용접 장비의 구성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피복 아크 아래 그림에 나타난 것과 같이 용접전원, 용접케이블, 홀더로 구성되어 있다.



(1) 용접전원은 교류와 직류가 있으며 그 특징을 비교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 용접케이블


용접기에 사용되는 전선은 전원에서 용접기까지 연결되는 1차 측 케이블(파워케이블)과 용접기에서 홀더 및 모재까지 연결하는 2차 측 케이블(용접 케이블 과 접지 케이블)이 있다. 



(3) 용접봉 홀더 


용접봉의 끝 부분을 단단히 물리고 전류를 케이블에서 용접봉으로 전하는 기구로 용접봉을 쉽게 물리고 뺄수 있어야 하며 가볍고 튼튼하여야 한다. 또한 홀더 자신의 전기저항과 용접봉 접촉부와 케이블 연결부의 저항을 작게 하여 가열되지 않도록 하고 절연되도록 해야 한다.




용접 전류, 전압, 속도의 영향


(1) 용접전류


용접전류는 용법봉의 직경, 이음 형태, 용접자세, 용접속도, 용접공의 숙련도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용접봉의 직경 1mm에  약 40A의 전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후판이나 필렛 용접에서는 열이 빨리 확산되므로 조금 높은 전류를 필요로 하고, 박판이나 수직 및 위보기 자세로 용접 시 약간 낮은 전류를 사용한다. 사용전류가 적정전류 보다 낮으면 아크를 유지하기 힘들고 용접봉이 모재에 달라 붙기 쉬우며 용입이 얕고 슬래그 혼입이 자주 발생한다. 반대로 적정전류 보다 높으면 언더컷이 발생하고 스패터가 다량 발생한다.



(2) 용접전압


용접전압은 아크 길이를 결정하는 변수인데 적정한 아크 길이는 심선의 지름과 대략 같은 정도가 좋다. 아크 길이가 길면 아크 불안정하게 되어 용융금속의 산화나 질화가 일어나기 쉽고 스패터도 심하게 발생된다.



(3) 용접속도


용접속도는 모재에 대한 용접선 방향으로 용접봉이 이동하는 운봉속도 인데 용접봉의 종류 및 전류, 이음형상, 모재의 재질, 위빙의 유무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사용되는 용접속도는 비드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되도록 빠른 것이 좋다.



참고자료


유튜브 동영상 한편 보면 이해하기가 좀 더 쉽다 (단 영어이다 ㅠㅠ). 그림만 봐도 이해가 간다. 






용접 분류로 가기





출처 : 공공누리 http://www.kogl.or.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