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순수 (Purified water)



순수 (물) 이란 기계적으로 필터를 거르거나 공정을 거쳐 목적에 따라 불순물을 제거한 물을 말한다. 

(초순수라는 말도 있는데 순수와 초순수는 경계가 불확실하다.)


이런 순수한 물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제약, 과학, 공학 분야에서 실험실 단위 혹은 산업적으로도 사용된다.


사용처에서 직접만들기도 하고 컨테이너로 사기도 한다. 


순수한 물을 만드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이 중 deion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만든 순수 물을 deionized water, DI water 라고 한다. 


아래 그림은 순수물을 만드는 설비 중 하나이다.



아래는 각 규격에 따른 오염도 수준이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Purified_water


http://ctkorea.co.kr/board_data/DI%EC%A0%9C%EC%A1%B0.pdf






반응형
반응형






구름 베어링의 호칭 번호


구름 베어링에 호칭 번호를 붙이는 목적은 제조나 사용시 혼란을 방지하고, 또 정리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호칭 번호로 주요 치수를 손쉽게 알 수 있으며, 호칭 번호 앞뒤에 붙이는 기호로 그 베어링의 특수한 형태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구름 베어링을 구입 할 때는 반드시 호칭 번호를 알아야 한다.



①기본 기호


㉠ 형식기호


베어링의 형식에 따라 정해진 번호 또는 기호를 말하며 베어링 호칭시 제일 먼저 나오는 기호이다. 형식번호 1, 2, 3, 4인 경우 복렬 베어링이고, 6, 7인 경우 단열 베어링이며, N인 경우 원통롤러 베어링이다.


㉡ 치수계열 기호


베어링의 치수는 안지름, 바깥지름, 폭( 또는 높이) 이 기본이다. 베어링의 치수규격은 안지름을 기준으로 각각의 안지름에 대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폭과 바깥지름을 조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치수계열 기호는 두 자리수로 나타내는데 첫 번째 숫자는 폭계열( 또는 높이 계열) 수이며, 두 번째 숫자는 지름계열수로 나타낸다. 




㉢ 안지름 번호


안지름 번호는 구름 베어링 내륜의 안지름을 표시하는 것으로 안지름 부여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접촉각 기호


볼 또는 롤러 베어링에서 하중이 가해지는 작용선이 반지름방향과 이루는 각을 접촉각이라 하며, 각도에 따른 접촉각 기호는 아래와 같다.




②보조 기호








반응형
반응형






크로메이트 코팅




크로메이트 코팅의 가장 큰 용도는 아연 표면에 대한 처리이다. 아연은 반응성이 큰 금속(특히 물과) 이다. 



공정


크롬산을 함유하고 있는 용액에 도금된 아연을 약 30초간 담그면 표면은 불용성 크로메이트 필름으로 코팅이 된다. 넛트, 볼트 및 나사못의 표면에 대한 처리가 일반적으로 시행되며 어떤 부품들은 푸른색으로 염색이 되어 있고, 다른 것은 황색 또는 무지개 빛 색상을 내기도 한다. 



목적


크로메이트 코팅은 아연의 부식 저항성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크로메이트 코팅은 또한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에도 적용된다. 대개는 부식 보호와 페인트 하지용도이다.



특징


부식 저항성



페이트 하지 용도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과 페인트 사이에 일종의 버퍼 (buffer) 영역을 만들어 열적 팽창/수축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치수 변화 없음


크로메이트 코팅은 제품의 크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전기적 전도성


크로메이트 코팅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어 금속 표면을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갖게 한다.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알루미늄은 자연적으로 표면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 알루미늄 피막을 형성하는데 이 피막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없어 전기 장비를 어스(earth) 혹은 그라운드 시키는게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크로메이트 코팅을 하면 된다. 


장식


이런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가끔 외관을 미려하게 하려고 사용되기도 한다. 



모재 (substrates)


알루미늄


항공우주 분야에서 알루미늄 합금에 많이 적용되며 MIL-DTL-5541 이 대표적이다.



마그네슘




강이나 철은 바로 크로메이트 코팅이 되지 않고 아연이 있는 강판이 크로메이트 코팅이 된다.


아연


아연 도금된 부품에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아연의 부식을 막기 때문에 좀 더 오래가게 한다.





알루미늄 부식 방지를 위한 크로메이트 코팅 미국군사규격 MIL-DTL-5541 보기


아연도금에 대한 크로메이트 처리 보기




참고싸이트


https://en.wikipedia.org/wiki/Chromate_conversion_coating


http://www.kaehr.com/chromate-conversion-coatings.cfm







반응형

'재질 - 합금, 표면처리, 재질 시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합금 (Copper alloy) 분류, 기계적 물성치, 성분, 규격  (0) 2017.03.13
황동 (brass)  (0) 2017.03.13
MIL-DTL-5541  (0) 2017.01.05
화성피막  (0) 2017.01.04
아연 도금 (Zinc Plating)  (0) 2016.10.05
반응형






탈지 (Degreasing)


금속표면에 도장할 경우 탈지, 탈청 등의 청정화 작업이 절대적인 공정이다. 


금속표면의 오염물은 금속의 산화물, 먼지, 구리스, 방청유, 윤활유와 그 분해물, 절제유, 소입유, 기계유, 연마제 취급 도중 부착되는 손기름, 공작유류 등이 대부분이며, 이중에 유지류를 제거하는 것을 날지처리 (Degreasing Cleaning) 라고 말한다. 탈지를 함으로써 금속과 직접 관련이 없는 먼지와 금속분, 기타 고형물도 부착성이 없어져 제거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장에 있어서 청정도는 높을수록 좋은 결과를 얻는 것은 당연하나 청정도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도장에 장애되는 유지오물을 제거하는 세정법은 옛날부터 여러가지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시도해 왔다. 용제탈지법, 알카리탈지법, 계면활성제탈지법, 전해탈지법, 초음탈지법 등이 있다.


후자로 갈수록 용접 부분과 용접이음 내부 같이 0.2 mm이내 사이에 침투되어 있는 유지류 침출을 없애기 위하여 처리시간을 길게 하던가, 처리 회수를 여러번 할 필요가 있다. 



아래 그림에서 왼쪽이 용제탈지법, 오른쪽이 용제 탈지법중에 보다 효율적인 증기탈지법 (Vapor degreasing ) 방법 (대상물을 용제에서 꺼낼 때 유지가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다.




용제탈지법 (Solvent Cleaning Process)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기름, 그리스(Grease) 등의 부착물을 휘발유 등으로 깨끗이 닦던가 담거서 세척하는 방법이 있으나 용제증발 후에 유지류가 남을 수 있다. 


보통 도장을 목적으로 하는 탈지법으로서 좋으나 이와 같은 용제 사용조건은 


첫째, 유지를 쉽게 녹일 것. 

둘째, 불연성(인화성이 적을것) 일 것. 

셋째, 용해된 유지류나 그외 불순물을 간단하게 분리 회수할 수 있을 것. 

넷째, 금속면을 부식시키지 않고 무해일 것. 

다섯째, 휘발성이고 표면상에 잔존하지 않을 것. 

여섯째, 저점도로서 표면장력이 적고 가격이 저렴할 것 


등이 요구되지만 용제속에 녹은 유분이 다시 금속면에 남아서 충분한 날지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요구조건을 만조하는 용제로서는 불연성이고 인화성이 적은 


트리-크롬에틸렌, 

디-크롤에틸렌, 

트리-크롤에탄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들 염소화탄화수소계 용제류가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장점은 불연성이고 인화위험이 적다. 유의 용해력이 크고, 증발이 잘되고 비열이 낮고, 또 가열에 요하는 연료비가 극소로 적고, 증기는 공기와 비교해서 무거운 이점이 있다. 결점으로서는 위생상 유해하고 수분이 혼합되면 염산을 발생해서 금속을 부식시킨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온갖 잡다한 부착물들을 녹여버리니 몸에 좋지 않은 경우가 있다. 실제로 일부 탈지 과정은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중무장 (우주복 같은 것 입고) 하고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주의할 점은 금속에 따라 용제가 달라지므로 잘 못 사용하면 모재가 녹아버리는 수가 있다. 헉하고 놀라는 수가 있다. 



알카리탈지법 (Alkali Cleaning Process)


금속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지류를 크게 나누어 검화유지와 불검화유지로 나눌 수 있다. 동식물유는 전자에 광물유는 후자에 해당된다. 



계면활성제 탈지법 (Surface Active Agent Cleaning Process) 


알카리 탈지법은 물리화학적 탈지법으로서의 합리성은 있으나 침투, 분산, 부화의 각 작용에 있어서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또 금속을 침식하는 경향이 있고, 처리온도가 높고, 수세에 곤란한 점도 있고해서 인산염처리나 도장 등의 후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장 전처리로서는 주로 용제탈지법과 계면활성제를 병용한 탈지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해 탈지법


고도의 탈지를 필요로 하는 광택멕키 혹은 크롬멕키 등 공업멕키의 분야에 없어서는 안되나, 도장전처리로서는 거의 사용 않고 있다.



초음파 탈지법 (Ultrasonic cleaning)


초음파 탈지법은 탈지용액중에 초음파를 걸어 탈지하는 방법으로 보통 도장 전처리에 의한 탈지법으로서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금속소지의 꺽은 부분, 용접이음 내부, 적은 구멍 등에 들어있는 유지류를 제거할 경우 가장 우수한 방법이다. 완전 탈지가 요구되는 전착도장전의 탈지법으로 이 방법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탈지후처리 및 탈지액 노화 관리


각종의 방법에 의해 탈지되지만 탈지된 금속면에는 용제, 비누 알카리, 계면활성제, 산화피막 등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세나 산세를 충분히 해야만 된다. 


탈지액 노화관리는 탈지액이 사용되고 있는 중 탈지능력이 감소되어 탈지시간이 길게된다. 이는 탈지액이 노화된 것을 표시하기 때문에 항상 액의 관리를 적당하게 하기 위해서 액의 유효도를 측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측정기준은 첫째로 pH측정, 둘째로 유효 알카리 측정, 셋째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측정, 넷째로 알카리함량 측정, 측정 결과 효력이 감퇴되어 있을 때는 약품을 보급하던가 또는 새로운 약품을 첨가해야 한다. 


완전탈지된 소지판정은 여러 방법이 있지만 현장에서는 수세된 후 금속면이 균일하고 물의 흐름이 끊어짐이 없으면 탈지가 잘 되었다고 본다



출처


http://www.paintncoatings.com/html/consulting/info/info04/info04_09_3.html

https://en.wikipedia.org/wiki/Solvent_degreasing

https://en.wikipedia.org/wiki/Ultrasonic_cleaning


https://en.wikipedia.org/wiki/Parts_cleaning

반응형
반응형






진동 충격 저감 장치 - 와이어 메시 쿠션 (wire mesh cushions)



진동 충격 저감 장치 중 하나로 금속 와이어를 특별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만든다. 


사용처는 자동차, 트럭, 버스, 기차, 해양, 재생에너지 등에 사용된다.


용도는 진동 저감, 충격 저감, 유공압 마운트, 펌프, 파이프 지지대, 열적 분리, 스토퍼, 엔진 및 기어박스, 발전기 및 압축기, 배기 마운팅, 전자 및 센서 등에 사용된다.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 범위가 넓고 수명이 길며 설치 공간이 작으며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면 부식의 저항성도 가지게 된다. 또한 제조사들에 따르면 영구변형이 없으며 경화 (hardening)이나 크립 (creep) 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용품 예


아래는 일부싸이트 이며 파는 곳은 무지하게 많다 (인터넷 찾아보면 널렸다. 심지어 알리바바에서도 개당 1000원도 안하는 경우도 있다. 비쌀 이유가 없겠지만...). 


국내 자체제작 업체는 원진테크가 있다 (친절히 댓글 달아주심).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자동차 배기 마운팅 등에 사용이 된다. 자동차 배기계의 경우는 엔진의 높은 온도의 배기가스에 직접 닿기 때문에 뜨거워져서 이러한 금속 메시 쿠션을 쓰는 듯하다. 


또한 자동차 배기 마운팅 자체가 매우 긴 구조물로 진동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는데다가 진동 가진원인 엔진과 연결되어 있고 배기 가스 공명음이나 주행에 의한 진동 가진에 진동하기 쉬워 진동을 잘 흡수할 수 있는 마운팅 구조가 필요하다.  



이미지 출처 : http://www.stopchoc.co.uk/articles.asp



이미지 출처 : http://www.stopchoc.co.uk/articles.asp



이미지 출처 : http://www.dceltech.co.uk/metal-cushions-info.html




설치예



이미지 출처 : http://www.paulstra-industry.com/upload/product/documentation/coussins-metalliques-uk.pdf

* 상기 사이트에 비교적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다 (영문)



참고싸이트


http://www.wonjintech.kr/index.php


http://en.vibratec.se/products/vt1120-vt1140/


http://www.paulstra-industry.com/metal-mountings-g2-en.htm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