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진동 충격 저감 장치 - 와이어 로프 아이솔레이터 (wire rope isolator)



이미지 출처 : http://www.vibrodynamics.com/english/wire_rope.html

상기이미지는 Vibro/Dynamics LLC 사의 제품 이미지 입니다.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하기 위해 금속 로프를 사용하는 장치이다. 대부분이 15~25 %의 높은 감쇠비를 가지며 5 Hz 이상의 진동을 저감한다. 


 - 진동과 충격 저감

 - 높은 감쇠율 (로프의 케이블 끼리의 마찰에 의한 감쇠) 

 - 넓은 온도 특성

 - 긴수명

 - 크립 (creep) 이나 에이징 (aging) 이 없음



출처


http://www.vibrodynamics.com/english/wire_rope.html







반응형
반응형


MIL-DTL-5541


알루미늄 부식 방지를 위한 크로메이트 코팅 미국군사규격으로 Type 1,2와 Class 1A와 3이 있다. 아노다이징이 절연의 특징이 있으므로 전도 특성을 지녀야 할 경우에는 이 코팅을 사용한다.


Title : Chemical Conversion Coatings on Aluminum and Aluminum Alloys


Scope :This specification covers chemical conversion coatings formed by the reaction of chemical conversion materials with the surfaces of aluminum and aluminum alloys.


Types 


Type I – Compositions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Type II – Compositions containing no hexavalent chromium.


Classes. 


Class 1A - For maximum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painted or unpainted.

Class 3 - For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where low electrical resistance is required. 






출처 및 원본 파일 (영문)


MIL-DTL-5541-revF.pdf


https://en.wikipedia.org/wiki/MIL-DTL-5541


http://quicksearch.dla.mil/qsDocDetails.aspx?ident_number=5499



반응형
반응형





본딩 점퍼 (bonding jumper)



본딩 점퍼는 필요한 전기전도성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신뢰할만한 전도체이다. 




상용품


덕우원 사의 제품이다.






이미지 출처 http://www.dwwon.com/default/02/menu3.php?topmenu=2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Bonding_jumper


http://www.dwwon.com/default/02/menu3.php?topmenu=2


http://www.dwwon.com/default/img/content/duckwoo.pdf








반응형
반응형





화성피막 (chemical conversion coating) 이란


금속표면처리의 한 방법으로 소재면에 전기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유기, 무기산의 금속염욕으로부터 소재면의 일부를 용해시킴과 동시에 금속염을 치환시켜 얻어진 피막을 말하며 변환피막 (chemical conversion coating) 이라고도 불린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Conversion_coating


http://www.rit.edu/affiliate/nysp2i/sites/rit.edu.affiliate.nysp2i/files/pdfs/plating_or_conversion_coatings_final2e.pdf


http://www.yujinchem.com/document1.htm

반응형
반응형





볼트, 너트 풀 때와 조일 때 토크가 다른 이유



볼트를 조인 후에 즉시 풀게 되면 조임 토크 보다 약 20 % 낮은 토크에서 볼트가 풀린다. 그 이유는 볼트의 조임 토크 성분은 볼트 머리 마찰력 + 나사산 마찰력 + 볼트 인장력 성분인데 비해 풀릴 때에는 볼트 인장력 성분이 빠지기 때문이다. 단, 볼트가 조여진 채로 장시간 사용되어 부식 되거나 조임 과정에서 나사산에 불순물로 인해 오염이 되거나 표면 조도가 바뀐 경우에는 풀 때 토크가 증가하기도 한다. 


볼트를 조인 후에 하루 정도 지나고 나서 다시 볼트를 풀게 되면 풀림 토크가 약 10 % 증가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접촉면의 매립(embedding) 과 마찰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온도 효과 때문이다. 


온도나 환경 변화가 극심한 경우에는 마찰 조건이 급격히 바뀌게 되고 풀림 토크는 더 크게 바뀐다. 예로 해수 조건이나 낮은 온도 조건에서도 크게 바뀔 수 있다. 또한 일부 윤활제의 성분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50~100 % 까지 풀림 토크가 바뀔 수 있다. 


부식이 일어난 경우에는 거의 분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며 너트를 자르든가 볼트를 자르든가 ... (고생 좀 할 껄...)


요약하면 이상적으로는 조임토크보다 풀림토크가 더 작아야 하지만 조임 과정 혹은 외부 환경으로 인해 풀림토크가 (크게) 증가 혹은 감소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http://www.boltscience.com/pages/untightening.htm

http://www.nord-lock.com/bolted/the-experts-why-does-torque-vary-when-tightening-and-untightening/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