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유동함수 (stream function)


2차원, 비압축성 유동에 대하여 정의가 된다 (아래 그림에서 파란색 선이 유선이다).


유선 (streamline) 을 따라 유동함수는 일정한 값을 가지며 두 유선 사이의 유량은 유동함수의 차와 같다.


* 유선이란 정상 흐름에서 입자의 궤적을 나타낸다.



정의



ψ : 유동함수 (스칼라값)


u : x 방향 속도


v : y 방향 속도


연속 방정식을 이용하면 ()



이 된다.






반응형
반응형






체적탄성계수 (Bulk modulus)


어떤 물질이 압축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정의


아래 그림과 같이 균일한 압력을 받을 때 부피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K : 체적 탄성계수


P : 압력


V : 부피


체적탄성계수에는 - 부호가 있기 때문에 압력 (P>0) 에 대해 부피가 감소(dV <0)하므로 K는 항상 0보다 크다. 단위는 압력의 단위와 같다 (Pa, MPa, GPa)


아래와 같이 밀도의 형태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시


물 : 2.2 GPa


메탄올 :  823 MPa (1기압 20도씨 기준)


공기 : 142 kPa (단열)


공기 : 101 kPa (등온)




압축률 (compressibility)


체적 탄성 계수의 역수를 압축률이라 한다. 











반응형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버 수 (Weber number)  (0) 2020.01.29
유동함수 (stream function)  (0) 2020.01.28
일반기계기사 2019.03.03 1차 유체역학 문제 풀이  (1) 2020.01.23
경계층 두께 (Boundary layer thickness)  (0) 2020.01.23
음속 (Speed of sound)  (0) 2020.01.23
반응형




기출문제 : https://www.comcbt.com/xe/ny/3579727



* 단위가 헥갈릴 때에는 SI 단위계의 kg, N, m, s, Pa 단위로 통일해서 계산하면 된다.



1. 답 2


원관, 난류에서 압력 손실 


유체의 속도는 2배, 마찰계수가 1/√2 이 되면


압력손실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마찰계수에 비례하므로


2^2 x 1/√2 = 2√2



2. 답 2


 


밀도 = 비중 x 물의 밀도 = 0.9 x 1000 kg/m^3 = 900 kg/m^3


Re = 900 x 3 x 0.03 / 0.3 = 270 



3. 답 1


소리의 속도



속도 = SQRT ( 2200e6 / 890 ) = 1572 m/s



4. 답 1


진공 압력계로 75 mmHg (부압) 이면 대기압이 760 mmHg 이므로


절대압력 = 760 -75 = 685 mmHg (685 mm의 수은 기둥의 압력)


수은의 비중이 13.6 이므로


수은의 밀도 = 수은의 비중 x 물의 밀도 = 13.6 x 1000 = 13600 kg/m3 



절대압 = 수은의 밀도 x 중력가속도 x 높이 = 13600 x 9.8 x 0.685 = 91300 Pa = 91.3 KPa



5. 답 3




점성계수 = 밀도 x 동점성계수  


밀도 = 비중 x 물의 밀도 = 1.2 x 1000 kg/m^3 = 1200 kg/m^3


동점성계수 =  10 cm^2/s = 10 e-4 m^2/s


점성계수 = 밀도 x 동점성계수 =  1200 x 10 e-4 = 1.2 Pa s



6. 답 2



선단으로부터의 거리가 x 일때 경계층의 두께는 에 정비례 한다.


거리가 2배가 되었으므로 두께는 배 만큼 커지므로 답은 mm



7. 답 3


이상기체의 레이놀즈수를 구하는 문제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



p = 380 kPa = 380e3 Pa


T = 27 + 273 = 300 K


Rspecific = 187.8 Nm/ (kg K) 


-> ρ = P / ( Rspecific T) = 6.74 kg/m3





V = 6 m/s


L = 0.05 m


점성계수 = 1.77e-5 kg/(ms)


Re = 1.14e5 -> 상임계 레이놀즈수 4000 보다 크므로 난류영역




8. 답 3




9. 답 3




10. 답 1



절대압 = 밀도 x 중력가속도 x 높이 = 850 x 9.8 x 10 = 83300 Pa = 83.3 KPa


밀도 = 비중 x 물의 밀도 = 0.85 x 1000 kg/m3 = 850 kg/m3



11. 답 2



펌프의 효율 = 1000 kg/m3 x 9.8 x 1.2 m3 / 60 s x 30 m / 7350 W = 0.8 



12. 답 3


연속방정식 문제





13. 답 1


피토관 -> 베르누이의 정리



0.5 x 1000 kg/m3 x 3^2 m/s = 1000 kg/m3 x 9.8 x z


z = 0.5 x 9 / 9.8 = 0.46 m




14. 답 4




15. 답 4




16. 답 4





17. 답 4


골프공의 딤플은 


전체적인 항력을 감소시킨다.


경계층의 박리를 지연시킨다. -> 점성저항 보다는 압력저항을 감소시킨다.


층류경계층을 난류경계층으로 천이시킨다.



18. 답 


베르누이 정리의 가정


정상유동


비압축성 유체


비점성 유체


동일한 유선



19. 답 3


관성력, 점성력, 표면장력이 중요한 마이크로채널 내부의 유동에서 중요한 무차원 수


Reynolds 수 : 관성력/점성력


Weber 수 : 관성력/표면장력



20. 답 1






















반응형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함수 (stream function)  (0) 2020.01.28
체적탄성계수 (Bulk modulus)  (0) 2020.01.28
경계층 두께 (Boundary layer thickness)  (0) 2020.01.23
음속 (Speed of sound)  (0) 2020.01.23
레이놀즈 수 (Reynolds number)  (0) 2020.01.23
반응형






경계층 두께 (Boundary layer thickness)




경계층 두께 δ 는 유체의 속도가 자유 흐름의 속도 의 99%가 되는 지점까지의 수직 거리를 나타낸다. 




층류


평판에서 층류 흐름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블라시우스 (Blasius) 의 해가 있다. 




위 수식을 보면 경계층의 두께는 선단으로부터의 거리 에 정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난류도 마찬가지이다.)

(즉 흐름이 하류로 갈수록 경계층의 두께가 계속 두꺼워지게 된다.)


난류


평판에서 난류 흐름인 경우에는 선단에서 난류가 시작되고 경계층이 기하학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거동한다는 가정하에


    
    
    
      : 레이놀즈 수 
    
     : 밀도
    
     : 자유 흐름의 속도
    
     : 평판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 

     : 점성 계수

     : 동점성 계수 (kinematic viscosity)




참고문헌


https://en.wikipedia.org/wiki/Boundary_layer_thickness








반응형
반응형







음속 (Speed of sound)


소리 (음파) 의 전파 속도이다.


음파는 파동이기 때문에 매질을 통해서 전달이 되고 이 매질의 성질에 따라 음파의 전달 속도가 달라진다.


20 도씨 공기중에서 음속은 약 343 m/s 이다. 



아래 그림은 공기나 액체에서 음파의 전달을 나타낸다. 


수식


일반적으로 유체에서 음속 c는 뉴턴-라플라스 식으로 구한다.




K : 등엔트로피 체적 강성 (bulk modulus) 


-> 주어진 힘에 대해 탄성체의 변형 저항 정도 (클수록 변형이 잘 안된다)


 : 밀도



음속은 체적 강성이 증가할수록 커지고 밀도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이를 적용하면 음속은 공기 < 물 < 철 의 순이다 (밀도 증가량보다 체적 강성의 증가량이 더 크다). 


다이아몬드 내의 음속은 무려 12000 m/s이다 (집에 커다란 다이아몬드가 있다면 한번 실험해보자).




참고문헌


https://en.wikipedia.org/wiki/Speed_of_sound#Mach_number


https://ko.wikipedia.org/wiki/%EC%9D%8C%EC%86%8D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