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충돌


반발계수 e : 충돌후상대속도 / 충돌전상대속도  




e = 0  : 완전 비탄성 충돌


충돌 후 한 덩이, 운동에너지 보존되지 않음.



0 < e < 1 : 불완전탄성충돌


운동에너지 보존되지 않음.



e < 1 : 완전 탄성 충돌 


충돌 운동에너지 보존됨, 충돌 전/후의 운동에너지가 같다.



※ 주의점 : 운동량은 반발계수와 상관없이 항상 보존됨












반응형
반응형







질점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


▶ 운동에너지 (kinetic energy, U)


병진 운동 : (단위 : J)


회전 운동 : (단위 : J)


 : 질량 관성 모멘트



▶ 위치에너지 (potential energy, V)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 


(단위 : J)


W : 무게, m : 질량, g : 중력가속도, h : 높이



스프링에 의한 위치에너지

(단위 : J)


k : 스프링 탄성계수, x : 중립점에서의 변위





일과 에너지 법칙


▶ 일 (work, U ) 


병진 운동 : 힘 (F ) x 힘의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s ) 


(단위 : J = N m)


회전 운동 : 토크 (T ) x 회전각 (θ) 


(단위 : J)


▶ 일률 (power, H ) = 단위 시간당 일


병진 운동 : (단위 : N m / s = J / s = W)


회전 운동 : 


▶ 에너지 보존의 법칙


보존력만 작용하는 경우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은 일정하다 (보존됨).



※ 보존력 : 경로에 따라 힘에 의한 일이 바뀌지 않는 경우 (예:스프링 탄성력, 중력)

※ 비보존력 : 경로에 따라 힘에 의한 일이 바뀌는 경우 (예:마찰력)




충격량과 운동량 법칙


▶ 충격량


뉴턴의 제2법칙  을 시간에 대해 적분하면



 : 충격량 (단위 : N s)

 : 운동량의 변화량 


※ 운동량의 변화량 = 충격량



▶ 운동량 보존의 법칙



예) 충돌 전의 두 공의 운동량의 합 = 충돌 후의 두 공의 운동량의 합










반응형
반응형






이종 금속 접촉 부식 (galvanic corrosion, 갈바닉 부식)



스테인레스 볼트 (+, cathode, 음극) 주위의 아연 도금된 연강 (mild steel, -, anode, 양극) 이 부식된 그림



이종 금속을 서로 접촉시켜 부식환경에 두면 두 금속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여 전자를 교환하여 비교적 빠르게 부식된다.


이종금속접촉부식 또는 전지작용부식이라고도 한다. 전기 화학적 과정이며 접촉면에 인접할수록 부식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방지법


두 금속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것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이종금속접촉 부식은 일어나지 않는다.)


아래 양극표에서 전위차가 가능한 적은 조합이 되게 금속을 배치할 것


전기 도금은 부식에대한 저항성을 높임.


양극의 면적보다 음극의 면적을 작게 할 것.


두 금속보다 전위가 낮은 제3의 금속 (희생양극) 을 부착할 것 

 



양극표


(아래는 금에 대한 상대적인 전위를 나타낸 표이다.)


아래 표에서 위에 있을 수록 전위가 높은 + (cathode, 음극) 이고 아래에 있을 수록 전위가 낮은 - (anode, 양극) 이다.


이종금속이 접촉해 있을 때는 양극이 부식된다.



Anodic index
MetalIndex (V)
Most cathodic
Gold, solid and plated; gold-platinum alloy−0.00
Rhodium-plated on silver-plated copper−0.05
Silver, solid or plated; monel metal; high nickel-copper alloys−0.15
Nickel, solid or plated; titanium and its alloys; monel−0.30
Copper, solid or plated; low brasses or bronzes; silver solder; German silvery high copper-nickel alloys; nickel-chromium alloys−0.35
Brass and bronzes−0.40
High brasses and bronzes−0.45
18%-chromium-type corrosion-resistant steels−0.50
Chromium plated; tin plated; 12%-chromium-type corrosion-resistant steels−0.60
Tin-plate; tin-lead solder−0.65
Lead, solid or plated; high lead alloys−0.70
2000 series wrought aluminum−0.75
Iron, wrought, gray, or malleable; low alloy and plain carbon steels−0.85
Aluminum, wrought alloys other than 2000 series aluminum, cast alloys of the silicon type−0.90
Aluminum, cast alloys (other than silicon type); cadmium, plated and chromate−0.95
Hot-dip-zinc plate; galvanized steel−1.20
Zinc, wrought; zinc-base die-casting alloys; zinc plated−1.25
Magnesium and magnesium-base alloys, cast or wrought−1.75
Beryllium−1.85
Most anodic




* 양극, 음극의 정의?

cathode = 음극 =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곳

이종금속접촉 부식에서는 전위가 높은 곳으로 전자를 받아들여 + 극이 된다.

anode = 양극 =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곳

이종금속접촉 부식에서는 전위가 낮은 곳으로 전자를 받아들여 - 극이 된다.



대표적인 사례 : 자유의 여신상


  

외피는 구리이고 안의 지지 구조물은 철이어서 두 금속 사이에서 발생한다.

1980년도에 정기 점검시에 발견이 되었다. 원래 1880년도 초기 설계에 이를 예상하여 (대단하다) 두 금속 사이에 절연층을 넣었으나 잘 안되서 PTFE로 교체했다고 한다.



참고문헌






















반응형
반응형







이상기체의 상태 방정식 (ideal gas law)




일반적인 형태




P : 압력 (SI 단위계에서는 Pa)


V : 부피 (SI 단위계에서는 m^3)


n : 몰 수 (moles number, SI 단위계에서는 moles)


R : 이상 기체 상수 (=볼츠만 상수 x 아보가드로 상수, 8.314 J/(K mol))


기체의 종류와 무관한 값이다.


T : 절대 온도 (SI 단위계에서는 Kelvin = 섭씨온도 + 273.15 )




몰 형태



ρ : 밀도


M : 몰 질량 (Molar mass)


건조 공기의 경우 28.9645 g/mol


Rspecific : 특정 기체 상수 (R/M) 


건조 공기의 경우 Rspecific = 287.058 J/(kg K)


기체에 따라 다르다.





반응형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력학의 기본이론과 질점의 운동학  (0) 2020.05.07
유압 액추에이터의 종류  (0) 2020.05.06
웨버 수 (Weber number)  (0) 2020.01.29
유동함수 (stream function)  (0) 2020.01.28
체적탄성계수 (Bulk modulus)  (0) 2020.01.28
반응형






웨버 수 (Weber number, We)


유체역학에서 사용되는 무차원 수로 표면장력과 비교하여 유체의 상대적인 관성을 나타내는 수이다. 이 양은 얇은 두께의 흐름과 방울이나 거품의 형성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정의



 : 밀도


 : 속도


 : 특성 길이 (보통 액체 방울의 직경을 사용한다.)


 : 표면장력 (surface tension)



아래 그림은 벽돌을 물에 던졌을 때 물이 튀는 현상이다. 이런걸 분석하는데 Weber 수가 사용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https://en.wikipedia.org/wiki/Weber_numbe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