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PSD (Power Spectral Density)

 

대부분의 실제 진동 현상은 정현파가 아닌 랜덤 진동이다. FFT는 여러 성분의 정현파 진동 해석에 효과적이긴 하나 랜덤 진동에서는 PSD 분석이 효과적이다. PSD는 FFT 결과를 복소수 성분과 곱해서 진폭의 실수값 (g^2) 를 만들어주며 주파수  레졸루션 으로 나주어 준다 (g^2/Hz). 이렇게 되면 주파수 레졸루션에 대해서 비의존적이어서 다른 데이터의 개수를 가지는 신호의 진동 수준을 비교하기에 유용하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랜덤 진동 규격에서 진동 특성을 나타낼 때 PS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MIL-STD-810G 같은 경우는 제트기의 화물에 대한 가속도 레벨을 나타내는데 PS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아래 참고문헌1의 케이스를 보자.

 

https://blog.mide.com/vibration-analysis-fft-psd-and-spectrogram

 

PSD로 정의되는 랜덤데이터

샘플링 주파수는 만 Hz (나이키스트 주파수는 5000 Hz)

 

10~10.1 초까지 천개

10~11 초까지 만개

10~20 초까지 십만개의 데이터가 있는 세 가지 경우 

 

나이키스트 주파수 오천까지 보면 샘플수가 많을수록 (즉 샘플 시간이 길어질수록) FFT의 진폭이 크게 감소하게되는데 ( FFT의 bin width 가 줄어들기 때문) 반면에 PSD는 큰 변화가 없다. 게다가 FFT 결과는 2천 Hz 이후에는 샘플 개수에 따라 진폭이 급격히 변화하는데 PSD는 큰 변화가 없다. 

 

즉 랜덤데이터 분석시에 PSD는 샘플 시간에 의존적이지 않으나 FFT는 의존적이다. 

 

*기존 포스팅에 오류가 있어 수정했습니다.

 

참고문헌

 

1

https://blog.mide.com/vibration-analysis-fft-psd-and-spectrogram

 

2 강추한다!! 함정은 영어...

https://community.plm.automation.siemens.com/t5/Testing-Knowledge-Base/What-is-a-Power-Spectral-Density-PSD/ta-p/360969

 

 

 

반응형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츄리 효과 (Venturi effect)  (0) 2019.12.11
공동 현상 (cavitation)  (0) 2019.11.22
공진 (resonance)  (1) 2019.01.23
펌프 개요  (0) 2019.01.14
열전달 (heat transfer)  (0) 2019.01.11
반응형

 

 

 

 

 

 

오리피스 (orifice plate)

 

오리피스는 구멍이 뚫린 얇은 판으로 보통 파이프나 튜빙 내부에 설치된다.

아래 그림에서 직경 d2의 구멍을 가지는 판이다.

 

다음 목적으로 사용된다.

 

      유량 측정

      압력 강하

      흐름 (유량) 제한 

 

베르누이 정리로 설명할 수 있는 벤튜리 노즐 (Venturi Nozzle)의 원리와 같다.

(자세히 보면 수식은 다르다.)

 

한글로된 수식

 

 

참고문헌

 

https://en.wikipedia.org/wiki/Orifice_plate

 

 

 

 

 

 

 

 

반응형
반응형

 

 

 

 

 

 

 

스탬핑 절곡 성형 (Stamping bending)

 

스탬핑 성형 중의 하나로 V자나 U자형의 형상을 만드는 공정이다. 주로 sheet metal (얇은 판)에 적용되며 연성 재질에만 사용된다. 쉽게 말해 얇은 금속 판을 V 자형 다이로 꾹 눌러서 변형 시키는 방법이다. press brake 란 기계를 이용해서 꾹 눌러준다. 이 기계는 누르는 힘이 주요한 스펙이다.

 

 

장/단점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대량생산이 아닐 경우에 싸다는 점이다. 단점은 재질에 따라 공정에 변화가 민감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재질이 바뀌면 스프링백의 양이 바뀌고 최종 형상이 달라진다. 이러한 단점을 줄이는 방법들도 있다. 

 

 

종류

 

다양한 공정이 있다. Air bending, bottoming, coining, three-point bending, folding, wiping, rotary bending, roll bending, elastomer bending, joggling

 

 

스프링 백

 

소성 가공이므로 성형 후에 원래 형상으로 살짝 돌아오려는 경향이 있어서 (스프링백이라고 한다) 원하는 형상보다 살짝 더 굽혀야지 가공후에 원하는 형상이 된다. 이 스프링백의 양은 재질아나 공정등에 따라 다른데 경험적 혹은 구조해석등을 통해 구할 수 있다. 판재는 가공 후에 길이가 늘어나며 양끝단에서 잰 길이를 bend deduction (굽힘 추정) 이라고 한다.  

 

 

굽힘 허용

 

다른 소성 가공과 마찬가지로 너무 많이 변형시키면 재료가 파단된다. 이 공정도 너무 많이 굽히면 재료가 파단이 일어나는데 이를 막기 위해 bend allowance (굽힘 허용) 이라는 걸 도입한다. 이걸 계산하는 방법은 무지 많고 인터넷 상에도 많이 공개되어 있다. 

 

아래 처럼 무척 어려워보이는 절곡도 있다.

 

 

 

 

 

 

참고문헌

 

https://en.wikipedia.org/wiki/Bending_(metalworking)

 

 

 

 

 

 

반응형
반응형

 

 

 

 

AM (additive manufacturing) 적층 제조 개요

 

최근 몇년 사이에 떠오르는 새로운 제조 방법이다. 프린터로 소재를 한층씩 쌓아 올려 3차원 물체를 만드는 방법이다.

3D 프린팅, RP (rapid prototyping) 이라고도 한다. ASTM 의 공식 명칭은 AM 이다.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고 복잡한 형상에 대해서도 제작이 가능하여 조립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깍거나 잘라내는 제조 방식에 비해 소재를 아낄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이는 소량 생산에서는 큰 장점이 아닐 수도 있다. 원가에서 소재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얼마 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용 분야로는 자동차, 의료, 항공우주 등이 있다 ( 사용 빈도가 높은 순 ). 

 

소재는 다양하게 가능하나 여기서는 금속 소재에 대해서만 다룬다. 금속 소재는 다른 소재에 비해 기술이 다소 초기 단계이다.

 

 

 

AM 제작 방법

 

6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에 실제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방법은 아래 두 가지 SLS와 FDM이나 금속은 DMLS를 사용한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 조형 (SLS, Selective laer sintering)

 

      레이저로 재료를 가열하여 응고시키는 방식으로 정밀성이 우수하다.

      소재 분말을 잔뜩 깔아 놓고 만들부분만 녹여서 굳히는 방식이다. 이걸 한층씩 하면서 만든다. 아래 DMLS 방법이 있기 때문에 SLS로는 금속 제품을 잘 만들지는 않는다.

 

 

 

 

    직접 금속 레이저 소결 조형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금속 파우더를 레이저로 소결시켜 생산하며 강도 높은 제품 등에 사용된다. 

      Selective laser melting (SLM), laser powder bed fusion (LPBF) 라고도 한다. 

      SLS의 하위 분류에 속하기도 하며 SLS와 달리 금속으로 3차원 부품을 만들 수 있다.

 

 

 

 

    압출 적층 조형 (FDM, Fused deposition model)

     

      고체 수지 재료를 녹여서 쌓는 방식으로 제작 비용과 시간 면에서 효율적이다.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프린팅 방식으로 한 층씩 재질을 쌓아가면서 만드는 방식이다.

 

 

 

 

 

출처 : 참고문헌 3

 

 

 

주요 업체

 

미국의 Stratasys와 3D Systems가 있다. 

 

 

 

금속 소재

 

금속의 3D 소재로 사용되는 금속 분말은 제조가 어려운 면이 있어 종류가 많지 않지만 알루미늄, 티타늄, 스테인레스, 인코넬 등이 있다. (사실 이정도면 대다수의 합금을 포함한다. 물론 알루미늄만 해도 종류가 무척 많으니 알루미늄 일부만 될 것으로 추측된다.)

 

분말 소결 방법은 레이저와 전자빔 방식이 있으며 레이저는 프린팅 완료후 소결 과정을 거쳐야 하나 전자빔은 필요 없으며 일부 제품은 단조 제품보다 우수한 강도를 지닌다고 한다 (응? 정말 대단하다).

 

 

출처 : 참고문헌 2

 

 

금속 소재 주요 제조 업체

 

출처 : 참고문헌 2

 

 

참고문헌

 

1

https://www.inirnc.com:40126/prop/bbs/board.php?bo_table=ini_column&wr_id=29&page=4

 

2

http://kmaps.kisti.re.kr/rpt/newPdfOpen.do?fileId=6a83773c-28ee-459b-b994-6178dfe8857d&stPage=1&endPage=5

 

3

기계저널, 3D Printing 기술 현황 및 응용 개요, 박형욱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기계 및 신소재공학부 부교수 

 

 

 

 

 

반응형
반응형

 

 

 

호스 클램프 상용품 

 

 

기밀 유지를 위한 호스 클램프 개요

 

호스 클램프는 기밀 유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파이프에 다른 물체를 고정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VOSS 사의 클램프

 

T-bolt clamps 

Quick Release clamps

 

 

http://www.vossind.com/products.html

참고문헌

 

http://www.vossind.com/products.htm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