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드센스 20230512 // //구글애드센스 20230512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반응형

 

 

 

 

KS D 3576 Stainless Steel Pipes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스테인리스강 KS 규격 중의 하나로 이외에도 대구경 (3588), 보일러 및 열교환기용 (3577), 일반배관용 (3595), 위생용 (3585) 등이 있다. (상세 내용은 맨 아래 참고 문헌 참고 바람.)

 

아래 내용은 하이스코 카탈로그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관련규격

 

KS D 3576
JIS G 3459
ASTM A 312

 

 

용도

 

석유화학, 섬유공업, 제지 등의 내식, 내열, 저온 배관에사용

 

 

재질

 

STS 304, 310S, 316 (항복강도 205 MPa : 규격에 따른 최소값임)

STS 304L, 316L (항복강도 175 MPa : 규격에 따른 최소값임)

  *L은 low carbon 저탄소량을 의미함.

 

 

 

치수 

 

호칭경 8~400 mm

두께 5s~80s

 

 

 

상세 치수 및 m당 무게 표

 

스케줄 숫자가 커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건 상식~(고압에서 쓸 수 있다.)

같은 스케줄이라도 직경이 커지면 두께는 두꺼워지거나 같다.

 

 

이미지 출처 : 하이스코 카탈로그

중량 계산은 계산식 말고도 위 표에서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KS 배관에 관한 정보가 잘 정리된곳이다.

http://www.eness.co.kr/products/stainless-steel-pipes-2/

 

하이스코 카탈로그

http://www.h-steel.com/theme/hwasung/down/pro_sten.pdf

 

 

반응형

'부품 - 체결류, 유공압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피스 (orifice plate)  (1) 2019.05.21
Parker 사의 튜브 피팅  (0) 2019.04.16
진공 플랜지  (0) 2019.04.01
메탈 호스 (파커)  (0) 2019.01.22
주름관 불안정성 (bellows instability)  (0) 2019.01.10
반응형

 

 

 

 

 

 

 

진공 플랜지

 

진공 플랜지의 종류는 규격으로 분류하면 아래 5종류가 있다. 같은 플랜지라 하더라도 제조사나 표준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KF (Klein Flange) / QF (Quick Flange)

 

  ISO 표준 중에 빠른 체결 및 분해가 가능한 플랜지 이다. NW 혹은 DN 으로 불리기도 한다. KF 설계는 ISO, DIN, Pneurop 표준에서 사용된다. 

 

 KF 플랜지는 금속 중심 링에 설치되는 오링과 원형 클램프로 구성되는데 사이즈는 호칭 내경이 10~50 mm 이다 (DN10KF~DN50KF). 직경이 큰 이웃 배관과 동일한 클램프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N10KF를 DN16KF와 연결)

 

KF-25 티, 오링, 클램프

 

ISO 대형 플랜지

 

  LF, LFB, MF 혹은 그냥 ISO 대형 플랜지라고 한다. KF 플랜지와 마찬가지로 오링으로 연결된다.

 

  두 가지 경우로 나뉘어 지는데 클램프로 연결되는 ISO-K (ISO LF) 와 볼트로 연결되는 ISO-F (ISO LFB)가 있으며 직경은 64~500 mm 까지가 있다. (DN63LF~DN500LF)

 

 

CF (Conflat)

 

  이 플랜지는 구리 가스켓과 플랜지의 날카로운 모서리 (knife-edge) 를 사용하여 초고진공 상태를 목적으로 한다. Conflat이라는 단어는 Varian 회사의 trademark이나 CF란 단어는 다른 회사에서도 사용한다. CF 플랜지 양 쪽 모두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으며 이 부분이 연질의 금속 가스켓을 눌러 기밀을 유지한다. 약 10-13 Torr (10-11 Pa) 까지 진공이 유지된다.

 

2 3/4 CF 플랜지,와 OFHC 금속 가스켓

 

그루브 (groove) 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보호하기도 하며 고온에서 가스켓이 팽창할 경우에 자리를 잡게해주는 역할도 한다. 스테인레스강의 경우는 450 도씨까지 적용가능하나 가스켓의 재질에 따라 달라진다. 게다가 CF 플랜지는 암수 구분이 없고 상호 교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거슨 엄청난 장점이다. 암수가 있으면 일단 도면 2개이고 적용에 제한이 많이 생긴다.) 북미에서는 플랜지 사이즈는 프랜지 외경을 인치로,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튜브 내경 직경을 미리미터로 나타낸다 (아... 인치단위계는 정말...). 이름은 달라도 실제 플랜지는 같다.

 

European, Asian size vs. North American size [inches]

DN10 1
DN16 1⅓ ("mini")
DN25 2⅛
DN40 (or DN35)
DN50 3⅜
DN63
DN75 4⅝
DN100 6
DN125
DN160 (or DN150) 8
DN200 10
DN250 12
  13¼
  14
  16½

 

이 플랜지는 William Wheeler 가 개발했고 Varian 사에서 고온에서도 적용가능하게 만들었다.

 

 

Wheeler

 

자세한 설명은 생략

 

 

ASA (American Standard Association)

 

미쿡에서 많이 사용되며 ANSI 코드로 혹은 이의 전신인 ASA 코드로 불리기도 한다. 오링을 사용하며 진공과 압력 용기에도 사용된다. 플랜지 크기는 ANSI의 경우 튜브 공칭 내경 혹은 ASA의 경우 플랜지 외경을 인치로 표현한다.

 

Nominal inner diameter/ANSIFlange outer diameter [inches]/ASA

1 4.25
1.5 5
2 6
3 7.5
4 9
6 11
8 13.5
10 16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Vacuum_flange

 

 

 

 

 

 

 

 

 

반응형
반응형







공진 (resonance)


진동공학에서는 가진 진동수가 고유 진동수에 근접하거나 일치하여 진동이 커지는 현상을 말한다.


고유진동수는 물체의 고유한 특성이다. 예) 아래 식이 1자유도 질량 (m), 강성 (k) 시스템의 고유진동수 수식이다 (1자유도계는 고유진동수가 1개이다).



가진진동수는 물체와 상관없이 외부에서 물체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힘 (혹은 변위 등) 이다.


예를 들어 어떤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가 10, 21, 35 , 49, ... Hz 인 경우에 외부의 일정한 크기의 힘이 1 Hz 로 가진할 때보다 1번째 고유진동수인 10 Hz로 가해지면 진폭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 현상을 공진이라 한다. 외력이 2번째 고유 진동수와 같아지는 21 Hz로 가진해도 진폭이 매우 커지는 공진 현상이 발생된다. 


공진 시에는 이론적으로 감쇠가 0일 경우에 진폭이 무한대가 된다. 그러나 실제 구조물은 모두 감쇠가 있기 때문에 무한대가 되지는 않으며 매우 커지긴 한다. 즉 공진시의 진폭은 감쇠값에 따라 크게 바뀌게 된다.


보통 공진 현상을 설명할때는 아래와 같은 그래프로 설명을 한다. X 축이 가진진동수/(비감쇠) 고유진동수이고 Y 축을 진폭 (실제로는 전달율)으로 보면 된다. 그리고 delta 는 감쇠로 보면 된다. X축이 1에 가까워 질수록 (즉 가진진동수 = 고유진동수) 진폭이 매우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공진시의 진폭은 delta 값이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진의 예



타코마 다리


공진의 공학적인 예제로 많이 나오는 타코마 다리이다 (이걸 설계한 사람은 좀 우울할 듯). 하필 다리의 고유 진동수와 바람의 가진주파수가 동일하여 다리가 실제로 부서진 사례이다. 이외에도 공진의 예는 무지하게 많다. 모든 악기는 사실상 공진 현상을 이용한 기구이다. 









1-자유도 시스템

아래 동영상에서 보면 공진을 이해하기가 쉽다.

아래 동영상에서 1자유도 시스템 3개가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고유진동수는 왼쪽부터 11.35, 6.35, 4 Hz 이다.

바닥면을 변위로 가진하는데 가진 주파수는 약 1 Hz 부터 계속 증가시킨다.

가진 주파수가 4 Hz가 되면 (1분 15초경) 맨 오른쪽 1-자유도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같아져 맨 오른쪽 질량 덩어리가 크게 진동한다.

가진 주파수가 6.35 Hz가 되면 (2분 경) 맨 중간의 1-자유도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같아져 중간의 질량 덩어리가 크게 진동한다.

가진 주파수가 11.35 Hz가 되면 (3분 경) 맨 왼쪽의 1-자유도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같아져 맨 왼쪽 질량 덩어리가 크게 진동한다.








참고문헌


https://en.wikipedia.org/wiki/Mechanical_resonance




















반응형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 현상 (cavitation)  (0) 2019.11.22
PSD (Power Spectral Density)  (1) 2019.05.21
펌프 개요  (0) 2019.01.14
열전달 (heat transfer)  (0) 2019.01.11
후크의 법칙 (Hook's law)  (1) 2019.01.03
반응형






메탈 호스 (metal hose)







메탈 호스는 유공압 기기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있거나 조립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1/4인치 튜빙 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을 가지기 위해 원형으로 몇 회 감아서 쓰는 경우도 많다.


메탈 호스 내부는 금속 주름관으로 되어 있고 외부는 금속 braid로 감아서 만든다. 이 금속 braid 가 주름관의 구조적 불안정성인 squirm 을 막아준다. 그래서 메탈 호스는 매우 긴 주름관을 쓸 수 있다. 또한 이 금속 braid는 주름관의 사용 압력을 높혀 준다. 그냥 주름관만 있으면 사용 압력이 낮다. braid를 한번 감을 수도 있고 여러번 감을 수도 있는데 많이 감을수록 사용 압력이 높아지고 무게가 늘어난다.


메탈 호스 회사는 다양한 다국적 업체가 있다. 각 회사의 메뉴얼을 보면 자세한 사용법과 규격이 나타나 있다. 물론 대부분 영어라는 것이 함정이다 (그러나 한국 구매처에 물어보면 친절히 한글로 안려준다).


위 그림에서 처럼 다양한 끝단 형상을 주문할 수 있다.




Parker 사 메탈 호스


여기서는 유명한 다국적 회사인 Parker 사의 메탈 호스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른 회사 것들도 대부분 비슷하다.


Parker 사 메탈 호스는 표준형, 유연성이 높은 유형, 고압용이 있다. 모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300 계열을 재료로 사용하며 사용온도는 극저온에서 고온까지 가능하다 (물론 고온에서는 사용압력이 낮아진다).


고압용은 1/4인치부터 4인치 까지가 있으며 braid가 1겹인 경우 2겹인 경우가 있다. 물론 2겹이 사용 압력이 더 높다. 직경이 증가할수록 최대 사용 압력 (max. working pressure) 이 낮아지며 당연히 파열압 (burst pressure)도 낮아진다. 온도가 높아지면 카탈로그에서 제시하는 factor를 곱해 사용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호칭경이 거칠수록 같은 호칭경이라도 braid 수가 많을수록 외경이 커지게 된다.


설치할 경우나 운동성이 있는 경우 모두 호스에 토크가 가해지면 안되고 심하게 구부리거나 압축을 하면 안된다.




설치시 주의점


메탈 호스는 설치시에 특히 주의하여야 하는데 메탈 호스 끝단에서 굽힘이 생기지 않게 직선으로 설치해야 한다. 물론 중간에는 굽혀져도 된다 (원래 그러라고 만든거라). 또한 메탈 호스가 움직일 경우에 호스가 다른 부위에 닿아서 호스가 접히는 부분이 없어야 한다. 이렇게 안하고 운이 없으면 호스 터지고 대형 참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참사 방지를 위해 메탈 호스는 일반 튜빙과 달리 최소 굽힘 반경 (min. bend radius)이라는 제약 조건이 있다. 이 값은 호스 모델에 달라지는 값이며 호칭경이 커질수록 커지나 braid 수와는 상관이 없다. 메탈 호스 설치시에 설치된 호스의 반경이 최소 굽힘 반경보다 커야 한다!!!  




운동성이 있는 경우 주의점


L : 호스 전체 길이

T : 운동 길이

S : 호스 외경 (카탈로그에 나와 있음)


반경이 일정한 운동의 경우


수직 및 수평 운동의 경우 (vertical and horizontal travel, 총 왕복 길이는 T)


L = 4 R + 0.5 T


*호스 주문할 때 위의 공식에 의해 길이를 구해 주문한다.


측방향 옵셋이 있는 경우 (lateral offset, 총 왕복 길이는 T/2)


L = SQRT (20R x T)


Lp =  SQRT (L^2 - T^2)


*T는 중심선 굽힘 반경의 25%를 넘지 않아야 한다.



반경이 변하는 운동의 경우


수직 및 수평 운동의 경우 (vertical and horizontal travel, 총 왕복 길이는 T)


L = 4 R + 1.57 T


* 반경이 변하지 않는 경우보다 길이가 더 길어야 한다.


각도 변화가 있는 경우


 L = 2S + (theta/57.3)R



위 두 경우가 합쳐진 경우


L = 4R + 1.57 T1 + 0.5 T2


T1 : 반경 변화 운동


T2 : 반경 일정 운동




<그림 출처 : http://www.parker.com/Literature/Parflex/CATALOG_4690-MH2-Metal-Hose.pdf >





참고문헌


http://www.parker.com/Literature/Parflex/CATALOG_4690-MH2-Metal-Hose.pdf




http://www.hosemaster.com/technical-information/dos-and-donts/

(설치시 주의점 그림으로 잘 나와 있음)



http://www.hosemaster.com/technical-information/length-calculations/

(길이 계산 그림 잘 나와 있음, 어째 위 카탈로그 그림이랑 똑같음.)



https://www.swagelok.com/downloads/webcatalogs/en/MS-01-180.pdf

(하지 말아야 할 것들에 대한 추가 설명 많음)





반응형
반응형








기계재료



이론


금속의 열처리 (heat treatment)


금속 부식 (corrosion) 의 종류


마멸 (wear)





탄소강 (carbon steel)


철과 강의 차이





스테인레스 강 (stainless steel) 개요


스테인리스강 추가 원소와 역할


스테인리스강 물성치


스테인레스강 상에 따른 물성치 차이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종류와 특징


석출 경화계 스테인리스 강 (Precipitation Hardening Stainless Steels)


쾌삭 스테인리스강 (free machining stainless steel)


스테인리스강 자성





알루미늄 합금 물성 개요


알루미늄 물성치 종합


전신용 (wrought) 알루미늄 합금의 화학 성분 및 용도





특수 합금 개요


인코넬 (Inconel) 개요


하스텔로이 (Hatelloy) 개요


티타늄 합금 (titan alloy)


고속도강 (high speed steel, HSS)





동합금 (Copper alloy) 분류, 기계적 물성치, 성분, 규격


청동


황동 (brass)





재료 시험


강도 (strength) 와 강성 (stiffness) 의 차이


인장 시험 (tensile test)


경도 시험 (hardness test)


샤르피 충격 시험 (charpy impact test)

재질 인성 (toughness) 및 파괴인성 (fracture toughness)









반응형

+ Recent posts